[11. 관계사절-④] 유사 관계대명사 (p.333~) - 관계대명사 what절

서지호 13일차 0 765 2017-07-17 20:58

1. 수강한 강좌명:
(예: 문법의신_[11. 관계사절-④] 유사 관계대명사 (p.333~)

2. 학습 분량 :

([11. 관계사절-④] 유사 관계대명사 (p.333~)


3. 알게된 내용 :

(8) 관계대명사 what

역할 : 명사절

형태 : [what (S2) + V2~ ]
해석 : ~하는 것 , 무엇

설명 : 관계대명사 what이 이끄는 절은 선행사를 포함한 절이다. 다시 말해 앞 장에서 배운 관계사절들은 모두 [ 선행사 + (관계사절) ]의 형태를 취하고 있고 관계사절이 선행사를 꾸미도록 되어있었다. 하지만 관계대명사 what절은 [(선행사+what~)] 으로 처음부터 선행사를 포함해서 형태를 만든다. 쉽게 말해 선행사와 분리하지 않고 처음부터 묶여있다는 뜻이다.

 

관계대명사 what절의 탄생 배경은 이러하다. 선행사에 막연한 것이 오고 그 뒤에서 수식어로 관계사절이 올 때, 선행사 막연한 것인 the thing자연스럽지 않아라고 해서 수식어와 함께 묶어버린 것이다. 예를 들어 The thing(that he said) is not altogether true.(그가 말한 것은 전적으로 사실이 아니야)’라는 문장을 보면 선행사 ‘The thing’을 관계사절 ‘that he said’이 꾸며주고 있다. 그러면 해석이 그가 말한 것이 된다. 이때 영어에서는 The thing을 그대로 두지 않고 The thing과 관계사 that합쳐서’ what으로 쓴다. 그렇다면 What he said is not altogether true.’가 된다. 해석은 동일하게 ‘~하는 것으로 일치하다. 중요한 것은 what 이전에 The thing일 때, 결론적으로 관계사절 that he said의 탄생 목적 자체가 선행사를 꾸미기 위해존재하는 것이므로 선행사가 관계사에 포함된다 하더라도 결국 명사역할을 하는 것은 다름이 없다. 그러므로 관계대명사 what절은 다른 관계사절이 형용사 역할을 하는 것과 달리 유일하게 명사절 역할을 하게 된다.

 

문장 성분에 대해 얘기하자면 관계대명사 what절이 형용사절이 아니라 명사절 역할을 한다 해도 관계대명사절인 것은 마찬가지이므로 불완전한 절의 구조를 가진다. 다른 관계대명사와 마찬가지로 관계대명사 what도 명사 역할을 하게 되는데 명사 역할인 주어, 주격 보어, 목적격 보어, 타동사의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중 하나의 역할을 꼭 해야 한다. 또한 관계대명사 what만 떼서 보지않고 what절 전체가 명사절역할을 하게 되므로 전체 문장 속에서 what절 전체 또한 명사 역할인 주어, 주격 보어, 목적격 보어, 타동사의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중 하나의 역할을 꼭 하고 있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관계대명사 what절이 지문 속에 나왔을 때 아래와 같이 2가지를 꼭 따져줘야 한다.

1) 전체 문장 속에서 what절 전체는 주어, 보어, 목적어 역할 중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

2)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대명사절 안에서 주어, 보어, 목적어 역할 중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

만약 둘 다 만족하지 못했을 때는 절대로 관계사절이 될 수 없다


ex) What i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해석 : 요람 속에서 배워진 것이 무덤으로 옮겨진다. - 세 살 버릇 여든 간다.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주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속에서 주어 역할

 

ex) What can’t be cured must be endured.

해석 : 치료될 수 없는 것은 견뎌져야 한다. 못 고치면 참아야 한다.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주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속에서 주어 역할

 

ex) Do you remember what I am famous for?

해석 : 내가 무엇으로 유명한지 기억나니?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목적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속에서 전치사의 for의 목적어 역할이다. 이때 전치사 for이 없다면 관계사절은 틀린 문장이 된다. what은 어쨌든 명사이기 때문에 꼭 주어, 보어, 목적어 중 하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야 한다. 만약 for이 없다면 주어 동사 보어가 완전한 문장이기 때문에 what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없다.

 

ex) I will forgive him for what he has done to me.

해석 : 나는 그가 나에게 했던 것에 대해 그를 용서할 것이다.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동사 do의 목적어 역할

 

ex) What makes him mad also makes me crazy.

해석 : 그를 화나게 만드는 것이 또한 나를 화나게 만든다.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주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속에서 주어 역할

 

ex) What is beautiful is not always good.

해석 : 아름다운 것이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다.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주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속에서 주어 역할

 

ex) You carry to the grave what you learn in the cradle.

해석 : 당신은 당신이 요람에서 배우는 것을 무덤으로 가져한다.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동사 carry의 목적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속에서 동사 learn의 목적어 역할 역할

 

ex) This is what I have been looking for.

해석 : 이것이 내가 찾고 있었던 것이다.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be동사의 보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속에서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

 

ex) He is not going to give you what you are expecting.

해석 : 그 사람은 당신이 기대하고 있는 것을 당신에게 주지 않을 것이다.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동사 give의 직접목적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속에서 동사 expect의 목적어 역할

 

ex) You have to believe in yourself regardless of what others expect of you.

해석 : 타인들이 당신에게 기대하고 있는 것에 상관없이 당신은 스스로를 믿어야 한다.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안에서 동사 expect의 목적어 * expect A of B = B에게서 A를 기대하다.

 

ex) There is genuine delight in what one is able to accomplish with one’s own hand.

해석 : 사람이 자기 손으로 성취할 수 있는 것에는 진정한 기쁨이 있다.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전치사 in의 목적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속에서 동사 accomplish의 목적어 역할

 

 

 

ex) You can call me what you want to call me.

해석 : 당신이 나를 부르고 싶은 것으로 불러도 된다.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목적격 보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속에서 목적격 보어 역할.

 

ex) He is independent of what I am dependent on.

해석 : 그는 내가 의존하고 있는 것에서 독립했다.

설명 : 관대 what절은 전체 문장에서 전치사 of의 목적어 역할,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속에서 전치사 on의 목적어 역할

 

ex) What with fatigue and what with a bad cold, he didn’t move at all.

해석 : 피로함과 심한 감기 때문에 그는 전혀 움직일 수 없었다.

설명 : 숙어 ‘what with A and B’ = ‘AB때문에

 

ex) What by threats and what by begging, he got what he wanted.

해석 : 위협과 애원을 수단으로 하여, 그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었다.

설명 : 숙어 ‘what by A and B’ = ‘AB의 수단으로하여

 

ex) Air is to man what water is to fish.

해석 : A is to B what C is to D

설명 : 숙어 ‘A is to B what C is to D’ = ‘AB의 관계는 CD의 관계와 같다.’

* is대신 asdo를 쓸 수 있다.

 

ex) Sleep

0
번호 글쓴이 날짜
공지 학습일지 게시판 오픈안내 (1) [바영훈] 07-03
37 16일차 [16. to부정사-①] 부정사의 형태와 개념 (p.459~) - 준동사의 뜻과 종류, to부정… 서지호 07-20
36 17일차 문법의 신 -기초반- 하편 13,14강 -to 부정사 1,2 (1) 김민진 07-20
35 16일차 문법의 신 -기초반- 하편 -동명사3 (1) 김민진 07-19
34 15일차 [11. 관계사절-⑤] 복합관계대명사, 복합관계부사 서지호 07-19
33 14일차 [11. 관계사절-⑤] 관계 부사 서지호 07-18
32 14일차 [11. 관계사절-⑤] 관계 형용사 서지호 07-18
31 15일차 문법의 신 -기초반- 하편 -동명사2 (1) 김민진 07-18
30 13일차 [11. 관계사절-④] 유사 관계대명사 (p.333~) - 관계대명사 what절 서지호 07-17
29 13일차 [11. 관계사절-④] 유사 관계대명사 (p.333~) - 유사 관계 대명사 서지호 07-17
28 14일차 문법의 신 -기초반-하편-동명사1 (1) 김민진 07-17
처음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맨끝

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hosting_users/coreenglish/www/gnu/head.sub.php:45) in /home/hosting_users/coreenglish/www/classes/Page.class.php on line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