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의 신 기초반 하편

안세윤 17일차 0 608 2020-07-21 23:45

1. 수강한 강좌명:
문법의 신 기초반 하편


2. 학습 분량 :

24강 25강


3. 알게된 내용 :

24강 내용


5. 부사 형용사 관사 명사의 어순에 주의할 것


가. as - as 원급비교에서 as 형 + 관 + 명


he will buy as expensive a car as he can afford.



나. so 형 + 관 + 명


he is so good a man.


a an + 형 + 명 


so + 형 + a,an + 명



다. too 형 + 관 + 명


so는 매우 


too는 너무 (약간 지나치다 과잉적이다 부정적인 의미)


he is a polite person to refuse

he is too polite a person to refuse.


this is too good an offer to turn down.  이것은 거절하기에는 너무 좋은 제안이다.


too to : 형용사 하기에는 너무 to부정사하다

so 형용사 that s + can't v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 so as too how however + 형 + 관 + 명


형용사와 관사의 어순에 개입한다.


평상시에는 관사 형용사 명사지만


so as too how however가 개입하면 형용사 관사 명사 어순으로 바뀐다.





as



as ~ as 원급비교구문 : ~만큼 ~처럼 ~같이 ~하다


he is as tall as she is.

she sang as well as he is.




기존의 관계대명사 구조

관 형 명(선행사) who which + s + v

                     which

                     that


as as 원급 비교의 형식을 띄고  오게 되면 


as 형 관 명(선행사) as + s + v 로 바뀐다. equally와 동일한 뜻이다.




he is a hard worker.  그 사람은 굉장히 근면하게 일하는 사람이야.



he is a hard worker who can be promoted to general manager. 그는 총 매니저로 승급할 수 있는 일는 근면한 근로자다.


he is (as) hard a worker (as) can be promoted to general manager. 그 사람은 총지배인으로 승진될 수 있을 만큼 근면한 근로자다.




how



감탄문


how 형 + 부 + s + v !

what a , an + 형 + 명 + 주 동 !


what이 how로 대체되면


how + 형 + 관 + 명 + 주 동!


what a hand sone boy he is!


how handsome a boy he is!


어떤 특정부사(감탄유도부사) 관사와 형용사의 위치가 바뀐다.



명사절 

I know (how rich a man he is). 나는 그 사람이 얼마나 부유한 사람인 지 알고 있다.


명사절과 감탄문의 어순은 같다.

의문부사인 I know의 목적어가 되는 명사절을 how가 명사절을 이끌고 있다.



however 


양보절을 이끄는 접속사


however  + s + v ~, 주어가 어떻게 동사하더라도


* however  형,부 s + v, 주어가 아무리 형용사/부사하게 동사하더라도

             형용사 뒤에 명사가 올 수 있어서 형+관+명 어순이 될 수 있다.


however rich a man he is, 콤마 찍으면 양보절, 그 사람이 아무리 부유한 사람이더라도

however smart a guy he was. 그 사람이 아무리 총명한 남자라도

however tall a player you may find, 당신이 아무리 키가 큰 선수를 찾아낼 지 모른다하더라도

however good a book you may be reading, 당신이 아무리 좋은 책을 읽고 있는 손 치더라도





6. 시간 장소 방법 명사의 일부는 전치사 없이 스스로 부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특정 단어는 이 단어 자체가 아무것도 더 이상 첨가하거나 바꾸지 않고 명사와 부사로 동일하게 쓸 수 있다. 



시간 : today yesterday, hour, week, morning


today is very important to me. 오늘은 나에게 매우 중요하다. / today가 명사로 쓰였다.

today, i'm going to meet my boss face to face. 오늘 나는 나의 보스와 직접 대면해서 만날 예정이야. / today 자체는 문장 전체 대해서  시간의 부가정보를 주는 역할이다.


I miss yesterday. 나는 과거가 그립다. / yesterday가 명사로 쓰였다.

I saw her, yesterday. 나는 어제 그녀를 보았다. / 명사가 아니라 어제 보았다라는 동사를 꾸며주는 시간의 부가정보다. 



all, this, that + morning, hour, week month year centuary

지시 형용사와 이런 시간의 단위를 뜻하는 명사를 붙여주면 부사로도 써먹을 수 있다. (물론 명사로도 사용 가능)


all day   하루 종일           문장 전체를 꾸며줄 수 있는 보조어나 동사를 꾸며주는 수식어적으로도 써먹을 수 있다.

    the night 밤 새

    night

    year 올 한 해

    the time. 


My stomach was upset that mornig. 그 날 아침 내 속이 뒤집어졌다.



장소 : here there home


장소를 뜻하는 명사로도  쓸 수 있고 부사로도 쓸 수 있다.


from here to there.  전치사 from의 목적어 전치사 to의 목적어로 쓰여서 here나 there나 명사로 쓰임


i'm seeing her here.  나는 여기서 그녀를 만난다.  here가 동사를 꾸며준다. (여기서 만난다)


this is my sweet home. 여기가 나의 보금자리다. be동사의 보어적으로 명사로 쓰임 (집 가정)


i'm taking you home.    나는 너를 집으로 데려가고 있다. 부사로 쓰임 (집으로 집에 집에서) 


i'm going home. 나는 집으로 가는 중이다.  home이 장소 부가정보 (부사)로 쓰였다.

             to school. 나는 학교에 가는 중이다. 전치사 + 명사의 형태다.

             to my home. home 앞에 수식어가 붙는 순간 home을 명사로 인식해서 앞에 전치사가 앞에 와야 된다.


i'm home. 나는 집에 있다. 부사로 쓰였기 때문에 전치사가 올 필요가 없다.

i'm at home. (x) 




방법 : this way, that way



way 명사 : 방법  


한국어

명사 방법

부사 방법으로 in a way, in a friendly way 처럼 in(으로)같은 토씨가 붙어야지 수식어로 쓸 수 있다.


영어


this way, that way, the way 부사 : 방식으로, 방법으로  / 전치사 in(으로) 빼고 바로 부사로 쓸 수 있다.



i treat her this way. 나는 그녀를 이런 방식으로 다룬다.  

i treat her in this way. 한국어의 토씨처럼 in(으로)을 붙여서 쓸 수도 있다.


come this way.  이리로 오세요. this way가 come을 꾸며준다 / come to this way.처럼 to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go that way.    저리 가세요. go가 that way를 꾸며준다.



ex) today


the review is in today's paper. (명사) 그 리뷰는 오늘의 신문 안에 있다.




young people today face a very difficult future at work. 오늘날의 젊은이들은 직장에서 매우 어려운 미래에 직면해있다. (형용사)

today가 명사 뒤쪽에 붙어 있으면 형용사로 쓰이고 앞의 명사를 후치수식한다.


just look at the closet space in here. (전치사의 목적어 명사) 

in here 여기 속에 



the countdown to christmas starts here (부사) 크리스마까지 카운트다운이 여기서 시작한다. /here가 starts를 꾸몄다.



장소부사들이 명사 뒤에 오면 형용사로 탈바꿈해서 명사 뒤에서 후치수식한다.


children here. 이곳의 아이들은 명사 뒤에서 here가 오면 앞의 명사를 후치수식

          everywhere  모든 곳의 아이들은

          there  거기의 아이들은 


시간부사들도 마찬가지로 명사 뒤에 오면 형용사로 탈바꿈해서 명사 뒤에서 후치수식한다.

명사 yesterday 

      today 

      tomorrow


영어에서는 하나의 단어가 하나의 품사로만 사용되는 게 아니라 위치에 따라서 품사가 달라진다.


25강 내용


수의 일치


agreement 일치 


주어와 동사의 수를 일치

명사와 대명사의 수를 일치

시제일치 


주어와 동사의 수일치


s (단수 복수 / 몇 인칭) + v (주어에 따라서 동사의 시제 일치)


he, she, it  3단수 + v 동사의 현재형을 쓴다면 특정한 형태를 쓴다.  is

                                                                                   has

                                                                                   does

                                                                                   likes knows 일반동사 끝에 s가 붙었나가 중요하다.

                                                                                  is는 was

 



I am, You are , 1인칭 단수어 주어 2인칭 복수 주어     일반동사에서는 do로 통일  have로 통일 

they are 3인칭 복수주어                                     like know s를 붙이지 않는다.

                                                                  am은 was   are는 were 



모든 조동사는 인칭 구분 없이 원형으로 쓴다.




2. he loves his own country. 그는 그의 조국을 사랑한다.

   he loves their own country. (x) 그는 그들의 조국을 사랑한다. he와 their는 다름



명( 단복) ---> 대명사 (단 복)       단수 복수를 일치시킨다.

                 단수 대명사                                   복수대명사

                 one it he she him her this that           ones they them 

                 his her my                                     these those

                                                                                                                   


you는 단복수 다 쓸 수 있다. 주격과 목적격 모양이 똑같다.

               


일치


주어가 3인칭 단수이고 동사가 현재형인 경우에 주어와 동사의 일치 문제가 주로 발생한다.

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가 주어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어떤 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가 단수로 취급되는지 또는

복수로 취급되는지에 대한 학습이 중요하다. 영어는 한국어에 비해 단수 복수의 구분이 엄격하기 때문에 

대입시나 각종 시험에 자문 문제화 되는 영역이다.



1. be동사의 수일치


be동사의 현재형에는 am are is가 있다. 주어가 i면 am을 she he it등 3인칭 단수이면 is를 

you나 복수이면 are를 쓴다.



i am suin. 


my best friend is amanda. 

3인칭 단수니까 is를 쓴다.


we are fifteeen years old.

1인칭 복수니까 are를 쓴다. 1인칭 단수면 am을 쓴다.



2. 일반동사의 수일치


가. 동사 + s - es


일반동사의 현재형은 주어가 i you we they 등인 경우 동사원형을 그대로 쓰며, 주어가 he she it등 3인칭 단수인 경우 동사 끝에

-s -es를 붙인다.




도표 참고


s es


동사                                  주어 (I you we they)                   주어 (he she it)


대부분의 동사들              clean speak wisit love                       cleans speaks visits loves


-o -x -s -sh -ch              do mix kiss wash watch                      does mixes kisses washes watches

로 끝나는 동사들 



자음 + y  모음 + y


동사                                          주어 (i you we they)                     주어 (he she it) 


자음 + y로 끝나는 동사             study fly try copy                             studies flies tries copies 


모음 + y로 끝나는 동사             say pay buy enjoy                            says pays buys enjoys


불규칙 동사                           have                                              has



3. 접속사 or, nor, as well as,  not only but also에 의한 연결



as well as


A as well as b    -> 주어자리에 나와 있으면 B부터 해석하고 A를 마지막에 해석하고 A를 동사 수일치


she as well as I is skinny. 나뿐만 아니라 그녀도 날씬하다.


I as well as she am~  이렇게 바꿔도 되지만 주로 1인칭을 뒤에다가 쓴다. you and I 등




either a or b         a 혹은 b                  -> 주어자리에 나와 있으면 A부터 해석하고 B를 마지막에 해석하고 B를 동사 수일치

niether a or b       a도 아니고 b도 아니고

not only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도

     (only는 just marely simply로 대체 가능)



either he or I am a student. 그와 나 둘 중 하나가 학생이다.


neither the tv nor the video actually works. 그 tv도 비디오도 사실은 작동을 하지 않는다.


a도 b도 둘다 아니다. tv 나 video나 3인칭 단수라서 뭘 선택해도 woks가 온다.



not only you but also she is pretty. 너뿐 아니라 그녀도 예뻐


b부분인 she에 수일치를 시키니까 is가 된다.

 



4. 유도부사 there는 뒤에 주어에 동사 일치




가. 1형식 구조에서 사용된다.



there was a boy. 한 소년이 있었다.



there + v + s

there는 유도부사라서 아무 뜻이 없다.  유도부사로써 동사 주어 도치된 절을 이끈다.      

유도부사가 주어로 오면 be 동사가 주로 오고 be 동사는 뒤에 주어에 맞춰서 일치 시킨다.




나. 3형식 구조에서 사용된다.


there I saw her. 거기서 난 그녀를 보았다.

there was a boy there. 거기에 한 소년이 있었다.


there + s + v + o 또는 c

there 뒤에 2345형식 문장이 오면 거기에 거기서라는 장소부사가 된다.




다. there (seem) to 동사원형 + 주어


there is a very distinct difference. 아주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very distinct difference이 단수라서 is로 받았다.


there is에서 is 를 바로 쓰지 않고 ~처럼 보인다라는 뜻의 seem을 먼저 놓고


there seem(s) to be ((S)) + V  to부정사 뒤의 주어((S))가 이 문장의 진짜 주어고 there는 유도부사다.

                                      ((S))의 인칭을 보고 seem을 쓸거냐 seems를 쓸거냐 결정한다.



there are no major art gallaries in this city. 이 도시에는 규모가 큰 미술관이 없다.


gallaries가 복수라서 are가 된다.


there seem to be fewer tourists around this year. 올해에는 주변에 보이는 관광객이 더 적어진 것 같아 보인다.

there are fewer tourists around this year. 올해에는 주변에 보이는 관광객이 더 적다.

 

to 부정사 뒤에 나오는  fewer tourists가 3인칭 복수라서 seem이 온다. 



 

5. A of B 형태의 주어

   all of 명사형 주어의 수 (312p 참고)


                                           복수 가산명사 또는 불가산 명사

~의 전량 또는 전체 수                 

all of

~의 전량 또는 전체 수가 아님

none of                                all은 모두다 그렇다. 긍정 / none은 모두다 아니다 부정      


~의 일부

some of

any of


percent of    가산 명사(수)의 퍼센트냐 불가산 명사(양)의 퍼센트냐?

portion of


~의 다수 혹은 다량

plenty of  다량 다수 다 받는다.

alot of     다량 다수 다 받는다.  

lots of     다량 다수 다 받는다.



~의 나머지 수 혹은 잔량

rest of     복수명사 (가산명사) 단수명사 (불가산 명사)가 오느냐에 따라서 동사를 일치시킨다.

                    저 사람들 나머지는 뭐야? (사람들은 셀 수 있는 복수 가산명사 복수명사)  그 돈 나머지는 뭐야? (돈은 셀 수 없는 불가산명사 단수명사) 

~의 일부 

분수 of     면적 같은 양애념이냐 갯수 개념이냐에 따라서 단복수가 결정된다.


many of    많은  갯수를 말하니 복수가산명사          ~의 다수

much of    양을 받으니 불가산명사                      ~의 다량

several of   여러 개라는 뜻이니 복수가산 명사       ~의 여러 개



위의 경우 앞의 대명사가 주어이긴 하지만 뒤에서 수식하는 명사에 의해 단수 복수가 결정되므로 뒤에 오는 명사로 동사의 수를 일치시킨다.

즉 (명사s + of + 명사o) +  v   전명짝 구조에서 실질적인 주어는 명사s지만 동사의 수일치는 전치사 of의 목적어인 명사o에 의해서 결정된다.

                


A of B 형태의 주어 -예문 314p 참고-


the rest of the land is deserted. 그 토지의 나머지는 버려져 있다.

토지는 셀 수 있는 갯수가 아닌 양개념을 봤기에 is를 썼다. 

 

  


(명사 + of + 명사) +  v

             s


주어는 당연히 맨 앞에 있는 명사가 된다. 명사 뒤에 of 명사는 명전짝으로 전치사의 목적어가 앞에 명사를 후치수식한다. 

(명사 + of + 명사) 전명짝 구조 



(명사 + of + 명사) + v

             s


맨 앞의 주어가 단수냐 복수냐 단어만으로 결정하기 힘들다.



all is               quite.

   are



all이 주어일 때 단수냐 복수냐? 둘 다 된다. all은 모든, 모든 것인데 모든은 양이나 수를 둘 다 받을 수 있다. 

모든을 양으로 받았다고 하면 셀 수 없기 때문에 단수로 is를 받고 수로 받았다고 하면 복수로 are를 받는다.

문맥을 통해서 all이 단수를 써야 되는 지 복수를 써야 되는 지 알 수도 있지만 


all 뒤에 of + 명사를 붙여서 all이 양이냐 수냐를 결정해줄 수 있다.


all of us       are

       them   are

       the money is   money는 양으로 따지는 불가산 명사니까 is가 온다.

                                      일반동사 현재형이면 뒤에 s를 붙인다.




6. 명사 + 전치사 + 명사 + V : 앞의 명사에 일치 (314P 참고)


5번의 A of B 형태의 all of 명사 + v 처럼 A 부분이 all 같이 대명사로 쓰인 것이 아니고 명사로 쓰였기 때문에

5번과 달리 뒤에 부분을 볼 필요가 없이 앞의 명사만으로 동사를 일치시킨다.

 


7. 명사 + who which that (관계사 주격) + v : 앞의 명사(선행사)에 일치 (314~315p 참고)


관계사 주격에 나오는 동사는 선행사와 수일치한다.


지시대명사로 쓰인 that

that is/are mine. 


that은 is those는 are다. that은 단수형 지시대명사다.


주격관계대명사로 쓰인 that

....cars (that) are mine.  주격관계대명사로 쓴 that은 뜻이 없다. 앞에 선행사와 관계사절의 동사와 일치시킨다.

                              주겨관계대명사는 who which that whose+명사가 오고 those these같은 것은 없다.




주의 (315p 예문 참고)



명사 + 전치사 + 명사 who which that(관계사주격) + v




명사 + 전치사 + 명사 who which that(관계사주격) + v의 경우는 관계사절이 무엇을 수식하는지 문맥을 보고

선행사를 결정해야 한다.


명사1 + 전치사 + 명사2 (who which that(관계사주격) + v)의 구조에서는

관계사절의 선행사가 명사2가 될 수 있고 명사 1이 될 수 있다.

관계사절의 동사는 선행사와 일치시켜야 되니까 잘 구별하자.



one of 복수명사 + (관계사주격 + 복수동사)


one of 복수명사는 '~들 중에 하나'


뒤에 관계사절이(관계사주격 + 복수동사)  'one of 복수명사중'에서 '복수명사'를 꾸며서 '~한 이런 것들 중에 하나는"

처음부터 선행사가 복수명사니까 복수동사가 온다.

 


the only one of 복수명사 + (관계사주격 + 단수동사)


뒤에 관계사절이(관계사주격 + 단수동사) 'the only one of 복수명사'중에서 'the only one'을 꾸며서 '~들 중에서 ~한 유일한 명사'

처음부터 선행사가  the only one니까 단수동사가 온다.




he is one of the men who (isX/are0) willing to die for me. 그는 나를 위해 기꺼이 죽을 남자들 중 하나이다.


tommy was the only one (of the men) (who (was0 /were) moved by the movie). tommy는 그 남자들 중 그 영화에 의해 감동을 받은 유일한 한 명이었다.


the only one을 (of the men) (who (was /were) moved by the movie)가 각각 독자적으로  후치수식한다.



  


8. every + 단수명사 + 단수 v : '모든'이라고 해석되지만 반드시 단수가산명사를 받는다. (예문 315~316)



every 모든 + 단수 명사 / every는 무조건 가산명사만 받고 단수명사만 받는다. / 하나하나의 각각의 개별의 뜻이다.  every day는 모든 날보다  매일이다. 


all 모든 + 복수 명사 / all은 불가산명사도 받고 가산명사를 받을 떄는 복수명사만 받는다. / all은 뭉뚱그려서 모두로 싸잡는다.



1. every + 불가산명사 (x) / 단 가산화하면 가능


명사는 종류가 가산명사 불가산명사로 나뉜다.


convenience 불가산명사로 개념으로 편의 편리성

a convenience 편의품 편의시설 관사가 붙으면 하나의 개체화가 된다. productive로 봐야 된다.


every a conveinience  모든 편의품들 하나하나가(o)  모든 편의성 하나하나가 (x)






2. 빈도부사 표현법에서


every + 서수 + 단수 명사 : every fourth year  매 4년마다 한 번 씩 / every 2nd day 이틀마다

every + 기수 + 복수 명사 : every four years   매 4년마다 한 번 씩 / every two days 이틀마다 4. 듣고난 소감 :

(듣고 나신 부분에 대한 간략한 소감, 후기, 추천사 등을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4. 듣고난 소감 : 

관형명 구조가 형관명 어순으로 바뀌는 것을 배웠는데 예전부터 영어를 볼 때 어떤 것은 관사가 맨 앞에 있고 어떤 것은 형용사 뒤에 있었는데 왜 그런가 궁금했는데 그 궁금즘이 풀렸다. 그리고 주어에 따라서  동사의 수일치가 변하는 것을 배웠는데 영작을 할 때 문장을 세심하게 쓸 수 있는 밑바탕이 될 것 같다.



5. 구체적인 후기 :

 인상 깊었던 부분은 관계사절의 동사가 앞에 나온 명 + 전치사 + 명사 앞의 선행사에 의해 결정된다는 부분이 많은 도움이 됐다. 

0
번호 글쓴이 날짜
25 17일차 문법의 신 기초반 하편 안세윤 07-21
24 17일차 문법의 신_ 기초반, 35강 홍지혜 07-15
23 17일차 이것이 진짜독해다 전은주 07-12
22 17일차 수능시작반 ab 서성민 07-11
21 17일차 수능시작반 AB 전애란 07-06
20 17일차 문법의신 기초반 박진현 07-03
19 17일차 [2020.6.29.월요일] 송지은 학습일지 17일차 송지은 06-29
18 17일차 문법의 신_기초반 주현우 06-28
17 17일차 문법의 신_ 기초반 김혜정 06-21
16 17일차 btb 23강 문장의 종류-① (p.130~) 안세웅 07-18
처음  1  2  3  4  맨끝

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hosting_users/coreenglish/www/gnu/head.sub.php:45) in /home/hosting_users/coreenglish/www/classes/Page.class.php on line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