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의 신_기초반 하편: 도치2

강보슬 44일차 0 179 2017-09-09 23:52

44일차: 문법의 신_기초반 하편: 도치2

1. 수강한 강좌명:문법의 신_기초반 하편_도치2
2.
학습 분량 : 54


3. 
알게된 내용: 형식 도치

1 형식 : S + V -> V + S

1) here/there + V + S

* V: be/was, were/ 완료/ 조동사

2) 장소부사구(+ 장소) + V + S

*인칭대명사가 S로 오면 도치 불가

 

2형식: S + V + C-> C+ S+ V : C를 먼저 보여주려고

                -> C+ V+ S : C를 먼저 보여주고 + 주어가 길어서

*양보절 경우: S, V의 도치는 안 일어남 (양보절 참조 : 문신 고급 P. 304~)

1)S. C 가 문두: Though S2 V2 C2-> C2 as S2 V2

2)부사가 문두 : Though S2 V2~ 부사 -> 부사 as S2 V2 

 

3형식: S + V + O -> O + S + V

                    -> O + V + S

4 형식: S + V + I. O. + D. O : 3형식으로 변환 후, + D.O V 뒤쪽으로

-> S + V + + D.O. + I. O

 

5형식 : S + V + O + O. C -> S+ V + O. C. + O

, O. C가 형용사 이고, O가 명사 일 때만 가능

 

** 양보절에서 R 의 문두 도치

come what may 종류: 문신 고급 P. 308참조 예문 # 1362

**

*** (:vt (+ ) : O) 구조

-사용 이유: O 너무 길고, 오해의 소지 있을 경우

I gave to him the book which my uncle had just published.

 

* 예문들과 생성과정 필기, post-it 참조 (무척 많음)

* 양보절에 관한 이미 했다는 설명은 모두 문신 고급 참조

 

4. 숙제 및 해야 할 것:

-타 전 짝 짝 / 양보절 도치 예문 찾아볼 것


5.
듣고난 소감 및 후기 

원리에 근거한 논리적인 설명으로 이해가 잘 되었다. , 사용하려면 수많은 예문을 보고 직접 작문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원리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다시 혼자서 머릿속으로 그 과정을 따져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0
번호 글쓴이 날짜
공지 학습일지 게시판 오픈안내 (1) [바영훈] 07-03
1677 4일차 I-dictionary 최훈 09-07
1676 2일차 학습일지 2일차 최우성 09-08
1675 46일차 문법의신_기초반 관계사절3 김현석 09-08
1674 43일차 문법의 신_기초반 하편: 도치1 강보슬 09-08
1673 1일차 학습일지1일차 최수아 09-08
1672 5일차 I-dictionary 최훈 09-08
1671 3일차 학습일지 3일차 최우성 09-09
1670 47일차 문법의신 기초반 관계사4 김현석 09-09
1669 2일차 2일차 학습일지2일차 최수아 09-09
1668 44일차 문법의 신_기초반 하편: 도치2 강보슬 09-09
처음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맨끝

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hosting_users/coreenglish/www/gnu/head.sub.php:45) in /home/hosting_users/coreenglish/www/classes/Page.class.php on line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