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관계사절-②] 관계대명사-2 (p.323~) 주격 관계대명사 ~ 목적격 관계 대명사

서지호 9일차 1 293 2017-07-13 22:45

1. 수강한 강좌명:
문법의 신 

[11. 관계사절-②] 관계대명사-2 (p.323~)

2. 학습 분량 :

문법의 신 

[11. 관계사절-②] 관계대명사-2 (p.323~)

3. 알게된 내용 :

(1). 관계대명사 뜻과 생성과정

 

관계대명사의 뜻

관계대명사는 두 개의 문장에서 공통된 명사가 있을 경우 수식해주는 절의 명사가 문두로 나가고 그것이 관계사절임을 티내기 위해 대명사’ who, whom, which, that, what와 같은 것으로 바뀔 때 이것을 관계대명사라 한다. 관계대명사는 두 개의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개념서에서 접속사와 대명사 역할을 동시에 한다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만약 ‘I love you. You love me’라는 문장이 있다면 정보를 종합했을 때 나는 너를 좋아하고, 너도 나를 좋아한다가 된다. 그렇다면 이때 ‘you’라는 명사를 기준으로 봤을 때 두 문장의 정보를 종합하여 한 문장으로 만들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나를 좋아하는 너가 된다. 이것을 영어로 표현하면 ‘I love you who love me’가 된다. 이렇게 두 개의 문장을 굳이 두 개의 문장으로 나눠 쓰지 않고 하나의 문장으로 쓰고 싶을 때, 특히 그 관계를 수식 관계로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이 관계사절이며 그 중에서도 대명사가 관계사절을 표현하고 있을 때 관계대명사라고 한다.

 

관계대명사의 종류는 which, that, who, whom, whose, what 등이 있다. 1차적으로 사람을 대신하여 쓰는 대명사이냐 아니냐로 구분하며 2차적으로는 그 명사의 문장 성분에 따라 구분한다. 사람을 대신하여 쓰는 관계대명사는 ‘who, whom, that’을 쓴다. who주어 사람 명사가 관계대명사로 만들어졌을 때 사용하고 whom목적어 사람 명사가 관계대명사로 만들어질 경우 사용하고 that은 두 경우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사람이 아닌 명사가 관계대명사로 만들어질 때는 ‘which, that’를 사용한다. 이때 사람 명사가 아닌 경우 주어이든 목적어이든 보어이든 상관없이 모두 관계대명사로 만들 경우 whichthat을 공통적으로 다 쓸 수 있다. ‘whose’는 어떤 사람 명사의 소유격을 관계대명사로 만들 때 사용하며, ‘what’은 선행사가 포함된 관계대명사로서 what절 자체가 명사절 역할을 한다.

 

관계대명사절의 두드러지는 특징은 관계대명사절은 불완전한 구조라는 것이다. 당연히 그럴 것이 관계대명사절 안에서 본래 있던 공통된 명사가 관계대명사로 바뀌고 난 후 문두로 나가게 되니 그 자리가 텅비어버리기 때문이다. 만약 관계대명사절로 보고 관계대명사절 안을 분석해봤더니 모든 문장성분이 그대로 완벽하게 있다면 그것은 필연적으로 관계대명사절이 아닌 것이다.

 

또한 공통된 명사를 기반으로 관계대명사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명사역할을 하는 주어, 보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 있는 명사는 언제든지 관계사절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을 알아야한다.

 

 

 

 

 

관계대명사의 생성 과정과 해석

1) 두 개의 절에서 공통된 명사를 찾는다.

2) 두 개의 절에서 겹치는 명사들 중 꾸밈을 받는 명사는 그대로 두고 꾸며주는 절안에서 겹치는 명사 는 관계대명사로 바꾼다. 이때 사람 명사이냐 아니냐, ‘본래 어떤 문장 성분 역할을 하고 있었는가에 따라서 적절한 관계대명사를 써넣어야 한다.

3) 관계대명사를 관계사절의 맨 앞으로 위치시킨다.

4)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위치는 선행사 뒤에 오도록 한다.

 

* 관계대명사의 해석

: 관계대명사의 해석은 단순 형용사와는 다르게 문장이 수식을 하는 것이므로

‘S2V2하는 ~’ 으로 해석한다.

 

ex) I lost the watch. she bought watch for me.

해석 : 나는 그 시계를 잃어버렸다. 그녀는 나를 위해 그 시계를 사줬다.

전환 1) I lost the watch she bought which for me.

전환 2) I lost the watch which she bought for me.

해석 : 나는 시계를 잃어버렸다 (그녀가 나를 위해 사준)

설명 : 두 개의 문장에서 겹치는 명사는 ‘Ime’ 그리고 ‘watchwatch’가 있다. watch를 기준으로 관계사절을 만들어 보면, 공통 명사 중 꾸밈을 받는 명사 watch는 그대로 두고 꾸밈을 해주는 절에서의 watch를 관계대명사로 바꾸어준다. 이때 watch는 사람이 아닌 사물이고 목적어 동사 buy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which, that’둘 중 아무것이나 다 쓸 수 있다.

 

watch 대신 which를 쓰고 관계대명사로 바뀌었다면 관계대명사절 맨 앞으로 뽑아낸다. 그러면서 동시에 꾸밈을 받는 선행사 뒤쪽으로 위치하게 해준다. 1)watch를 관계대명사로 바꾼 모습이며 2)는 문두로 나가면서 동시에 선행사 뒤에 위치하게 된 모습이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which she bought for me.’라는 관계사절 안을 잘 분석하면 buy의 목적어 자리가 비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관계대명사로 바뀌면서 문두로 나갔기 때문이다. 그래서 관계대명사는 이렇듯 불완전한문장 구조로 온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한다.

 

ex) Sam is a man. everyone respects him.

전환 1) Sam is a man. everyone respects whom.

전환 2) Sam is a man whom everyone respects.

해석 : Sam은 남자다 (모두가 존경하는)

설명 : 앞 문장 man과 뒤 문장 him이 겹친다. 또는 앞 문장 Sam과 뒤 문장 him 역시 겹친다. 겹치는 단어를 볼 때는 겉형태를 보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그 명사가 누구 혹은 무엇을 지칭하고 있는지 판단해야한다. a man을 기준으로 관계대명사로 고쳐보면 him은 사람 명사면서 him은 문장성분으로서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인 whom을 써준다. 그리고 관계사절 맨 앞으로 보내면 전환2)의 문장이 된다.


(2). 여러 가지 관계 대명사

: 조금 더 세부적으로 주격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 전치사의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나눠서 관계대명사를 알아 볼 것!

 

주격 관계대명사

: 주격 관계 대명사란 관계 대명사절이 만들어 질 때 주어자리에 있는 명사가 관계 대명사로 변하면서 관계 대명사절을 이끄는 것을 말한다. 주격 관계 대명사는 그 명사가 사람일 때는 who, 사물일 때는 whichthat을 사용하여 관계 대명사를 만든다. 주격 관계대명사는 예외 규칙을 제외하고는 절대로 생략될 수 없다.

 

구조상으로는 아래와 같다.

1) 선행사가 주어일 경우 : [ S1 + (who+V2) + V1 ~ ]

2) 선행사가 보어일 경우 : [ S+ V+ C (who+V2) ]

3) 선행사가 목적어일 경우 : [ S+ V+ O (who+V2) ]

* 선행사가 사람이 아닐 경우 당연히 who대신 whichthat이 들어가야 한다.

 

설명 :

1)의 경우 선행사가 주어일 경우에는 주어를 꾸미고 난 관계사절이 끝나면 곧바로 주절의 동사가 등장하게 된다. 그러므로 주절의 주어와 동사 사이에 절이 하나 끼여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끊어 읽어야 한다. 주절의 문장성분과 종속절(관계사절)의 문장성분을 절대로 헷갈려서는 안된다.

 

2)의 경우 주절의 보어 역할을 하는 명사를 선행사로 두고 관계사절이 꾸미는 형태이다. 주절의 주어, 동사, 보어가 다 제대로 갖추어져 있는 상태에서 보어 다음에 이 연달아 나오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매우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구조이다.

 

3)의 경우 주절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를 선행사로 두고 관계사절이 꾸미는 형태이다. 이 또한 주절의 모든 문장 성분이 온전한 상태에서 절이 뒤따라오기 때문에 매우 쉽게 관계사절임을 알 수 있는 구조이다.

 

ex) I know the girls. They are sitting on the bench.

전환 1) I know the girls (who are sitting on the bench.)

해석 : 나는 저 여자들을 알아 (벤치에 앉아 있는).

설명 : girlsthey가 지칭하는 대상이 같은 명사이다. 만약 they이하의 문장을 관계사절로 만들고 싶다면 they가 사람 명사이고 주어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who를 써서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때 관계 대명사절을 분석해보면 주어가 빠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who는 주어가 아니라 관계대명사이다!! 이렇듯 관계대명사는 항상 불완전한 문장 성분 구조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또한 관계대명사절과 주절의 문장성분을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ex) Look at the girl. She is drawing a picture.

전환 1) Look at the girl (who is drawing a picture).

해석 : 저 여자를 좀 봐 (그림을 그리고 있는).

 

ex) He is the man. He saved the child.

전환 1) He is the man (who saved the child).

해석 : 그가 그 사람이다 (아이를 구한).


ex) Do you know the man? He is standing at the gate.

전환 1) Do you know the man (who is standing at the gate)?

해석 : 너는 저 남자를 알고 있니? (입구에 서 있는)

 

ex) What was the name of the man? He lent you the money.

전환

0
서지호
17-07-13 22:49  
너무 길게 쓰다보니 글자가 짤리네요 ㅜㅜ
번호 글쓴이 날짜
공지 학습일지 게시판 오픈안내 (1) [바영훈] 07-03
1847 9일차 [11. 관계사절-②] 관계대명사-2 (p.323~) 주격 관계대명사 ~ 목적격 관계 대명… (1) 서지호 07-13
1846 11일차 문법의 신 - 기초반 :하편 5강 형용사 (1) 김민진 07-14
1845 10일차 [11. 관계사절-②] 관계대명사-2 (p.323~) - 목적격 관계대명사, 전치사의 목적… 서지호 07-14
1844 11일차 [11. 관계사절-②] 관계대명사-2 (p.323~) -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인접성, whi… 서지호 07-15
1843 12일차 문법의 신 - 기초반 :하편 6,7강 부사 (1) 김민진 07-15
1842 13일차 문법의 신 기초반 / 하편 8,9강 수의일치 (1) 김민진 07-16
1841 12일차 [11. 관계사절-] 계속적 용법, 수식적 용법, 주격관계대명사와 be동사의 생… 서지호 07-16
1840 14일차 문법의 신 -기초반-하편-동명사1 (1) 김민진 07-17
1839 13일차 [11. 관계사절-④] 유사 관계대명사 (p.333~) - 유사 관계 대명사 서지호 07-17
1838 13일차 [11. 관계사절-④] 유사 관계대명사 (p.333~) - 관계대명사 what절 서지호 07-17
처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맨끝

Warning: Cannot modify header information - headers already sent by (output started at /home/hosting_users/coreenglish/www/gnu/head.sub.php:45) in /home/hosting_users/coreenglish/www/classes/Page.class.php on line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