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와 독해혁명 병행학습법입니다.

by 이실장  /  on Apr 03, 2010 11:51
 

독해혁명 활용법

 

 

1. 들어가며

 

독해를 잘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문법적 해석 연습과, 필수적인 문장 구조의 암기가 중요하다고 AB 공부법에 소개한 바 있다. 그리고, 이 중에서 ‘문장구조의 암기’는 동사특강에서, ‘문법적 해석 연습’은 독해혁명을 통하라고 이야기한 바 있다.

 

오늘은 그 중에서, 독해혁명교재의 활용법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그런데 이러한 활용법에 대해 정확히 알기 위해, 먼저 독해혁명 교재의 구성에 대하여 알 필요가 있다.

 

독해혁명, AB교재가 23개의 Part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주어’, ‘동사’, ‘병렬구조’, ‘명사절’, ‘부사절’, ‘수동태’, ‘가정법’, ‘비교구문’, ‘관계절’, ‘동명사’, ‘to부정사’, ‘분사’, ‘시제’, ‘특수구문’ 이렇게 총 14개의 Part로만 구성 되어 있다. 그렇다면 이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렇다, AB교재의 내용 중 총론적인 Part에 해당하는 부분을 과감히 생략하고, B반에서 배우는 중요한 각론적인 부분을 위주로 제작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독해혁명 교재로 연습시, A반에서 배우는 내용은 대부분의 모든 문장에서 요소 요소 숨어 있기 때문에, 굳이 어느 파트만을 통해서 공부하기 보다는 독해혁명 교재에 나온 문장 전반에 걸쳐 연습해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짝 개념”, “주어, 동사 이야기”, “재귀대명사”, “형용사”, “후치수식”, “일치” 등과 관련하여서는 독해혁명의 Part 구분에 상관 없이 모든 부분에서 계속하여 공부하여야 한다.

 

 물론 독해혁명에도 “주어”, “동사” Part가 따로 존재하기는 하지만, 여기서는 공부 연습의 예시에 불과할 뿐, 주어, 동사 공부를 여기에서만 그쳐서는 안 되겠다. 이상, 독해혁명의 교재의 구성에 대해 이야기하여 보았으므로, 다음으로 “독해혁명” 교재를 활용하여, AB강의를 복습하는 방법과, 동사특강의 복습, 그리고 혼자서 분석 연습을 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여 보겠습니다.

 

 

2. AB의 연계복습

 

독해혁명 교재는 AB강의를 복습하기에 안성 맞춤인 교재이다. 물론 서두에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총론부분 즉 A반 part에서 일정부분 차이가 있지만, 미리 얘기한 바와 같이 극복 가능한 부분이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독해혁명 교재 전반에 걸쳐 복습을 하길 바라며, AB강의와의 연계 복습에 대한 설명을 시작하겠다.

 

기본적인 복습으로는, 당연히 AB강의를 듣고, 해당 부분에 대하여 매일매일 해당 부분을 찾아서 복습하는 방법이 있겠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 말처럼 쉽지는 않다. 왜냐하면, 자신이 배운 부분에 대하여 파트별로 찾는 것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학생들을 위해, 연구실에서 이번에 독해혁명 교재에 AB공식번호와 맞추어서 독해혁명의 해당 파트부분을 찾아서 기재한 표를 첨부하므로 크게 걱정하지는 않아도 된다.

 

연구실에서 제안하는 가장 좋은 복습법은 AB를 Part 별로 듣고, 독해혁명에서도 해당 큰 목차별로 공부하는 것 이다. 즉, AB강의가 “수동태”를 주제로 3일 동안 강의되었다면, 3일 동안은 열심히 AB강의를 듣고, AB교재만으로 복습 한 후에, “수동태” 편의 강의를 모두 들어 완료한 시점에서, 독해혁명의 큰 목차중 6번째 목차인 “수동태” Part를 찾아서, 해당 Part의 모든 문장에 대한 분석 연습을 하라는 것 이다.

 

여기까지는 분석연습을 해가는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 었고, 문제는, 이렇게 분석을 하다가 모르는 부분이 생긴다면 어떻게 할 것 인가이다. 사실, 독해혁명에 나온 문장들은 모두 수준이 있는 문장들이므로, 학생들이 혼자서 분석연습을 막힘없이 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 이다.

 

따라서, 이러한 학생들에게는 “독해혁명 강의”를 함께 들어줄 것을 권한다. 다만, 독해혁명의 강의를 듣는 시점에 있어서 곰곰이 생각해보아야 하는 것이, 분명 AB1강과 독해혁명 1강 이렇게 강의를 듣는다면 두 강의의 연계성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나, AB강의가 50~60강이고, 독해혁명이 40강 선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AB 1강을 듣고, 독해혁명 1강을 듣는 것은 매우 잘못된 공부 방법 이다.

 

즉, 연구실에서 제안하는 것은, 최소한, AB의 대(大) 목차 한 Part를 전체적으로 수강한 후에, 독해혁명의 해당 Part 만을 골라서 수강하여야 한다는 것이고, 가장 좋은 것은, AB강의를 들으면서 독해혁명 교재로 파트별로 혼자서 복습을 하고, 어려웠던 문장들에 체크만 해두었다가, AB강의를 모두 듣고 난 후에, 독해혁명 강의를 들어가라는 것 이다.

 

사실, 독해혁명 강의 자체만을 듣는 다고 해도, 어차피, 예습은 필수이기 때문에, 이렇게 공부하게 된다면, AB 강의에 대한 복습과, 독해혁명 강의에 대한 예습, 이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연구실에서 생각하기에는 이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본다. 이상 독해혁명을 이용한 AB의 효율적인 복습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는데, 이를 다시 간략하게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이 두 가지의 방법이 있겠다.

 

(1) AB강의를 Part별로 수강-> 상응하는 독해혁명의 Part별로 복습-> 상응하는 독해혁명의 Part별 강의 수강-> AB교재로 해당 Part 암기 (2) AB강의를 Part별로 수강-> 상응하는 독해혁명의 Part별로 복습-> 앞의 과정 반복을 통해 AB강의 완강-> 독해혁명 강의 수강

 

그리고 이러한 2가지 방법 중에는 물론, (2)번 방법을 훨씬 권하지만, 독해혁명과 AB강의를 병행하여 듣고자 하고, 어느 정도 문법적 지식이 있는 학생이라면, (1)번 방법도 좋은 공부법이 되겠다. 그렇다면, 연계 공부법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이정도에서 마무리 짓기로 하겠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AB교재의 문법 내용을 독해혁명의 각 Part별로 어떻게 분석 연습을 해 나가야하는지 알아보겠는데, 편의상, 이러한 분석 연습 방법은, 독해혁명의 각 Part별 첫 페이지에 예문 형식으로 첨부하겠다.

 

 

 

3. 동사특강과의 연계복습

 

독해혁명 교재는 동사특강에서 암기한 내용을 복습하기에도 좋은 교재이다. 특히, 독해혁명의 예문자체가 필수구문임과 함께, 교육청 모의고사 및 수능에서 자주 나오는 구문을 위주로 제작되었으므로, 그 동사역시 자주 쓰이는 필수 동사이고, 구조 역시 필수 암기 구조 이다. 따라서, 동사특강을 통해 동사구조를 공부하고, 이러한 것들을 여러 예문에서 찾아보기에도 독해혁명 교재는 매우 좋은 교재 이다.

 

특히, 각 동사에 따른 여러 가지 뒷구조 라든지, 복잡한 복문구조 등을 복습하기에 독해혁명은 일품이다. 그렇다면, 동사특강을 복습하기 위해서 독해혁명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우선, 동사특강의 동사 및 각 구조를 외우는 것은 필수일 것 이다. 그리고 이후에 이러한 것이 실제로 어떠한 상황이나, 어떠한 의미로 문장에서 쓰이는지를 독해혁명 교재에서 동사구조에 집중하여 공부함으로써 효율적인 공부를 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독해혁명 P.319의 14번 예문을 보자

In a community built on trust and openness, wher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show respect for each other, students feel secure and can develop the self-confidence which makes learning and personal growth possible.

 

이 예문을 보면, 여기서는 총 5개의 동사구조가 쓰였는데, 파란색으로 표시된 [built on, show, feel, develop, makes] 이 단어들이 그것이다. 물론 여기서 이 5개의 단어가 모두 동사로 사용된 것은 아니지만, 동사와 연관된 구조이기 때문에 연습하기에 충분할 것 이다. 특히 여기서 바로 눈에 띄는 것은 [build A on B], [show A for B], [feel 보어], [develop 명사], [make 목적어 + 목적보어] 이 구조들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들은 모두 동사특강에서 배우게 된다.

 

이처럼, 동사특강을 통해 배운 동사들을 직접 “엄선된 빈출 예문”구조에서 찾아보고 자신이 암기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독해혁명은 동사특강을 복습하기에도 매우 좋다. 다만, 이정도로 동사구조들을 한눈에 보고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문법 연습, 즉, AB공부가 잘 되어 있어야 하며, 동사구조의 암기가 되어있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 없이 중요하다. 따라서, 먼저 AB를 독해혁명과 함께 연계하여 공부한 후 다음으로 동사특강으로 넘어가서, 다시한번 독해혁명교재와 연계하여, 독해혁명의 복습 및 동사특강의 복습으로 동시에 활용한다면, 아마도 가장효율적인 공부코스가 되지 않을까 싶다.즉, 이를 표로 한번 표현하여 보면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AB강의를 Part별로 수강-> 상응하는 독해혁명의 Part별로 AB내용 복습 및 독해혁명 강의 예습-> 앞의 과정 반복을 통해 AB강의 완강-> 독해혁명 강의 수강-> 동사특강 강의 수강->동사특강 교재로 복습 및 암기-> 독해혁명 교재로 동사특강 암기내용 확인 및 독해혁명 복습.

 

그리고 이 내용대로 공부한다면, AB, 독해혁명, 동사특강 이 삼위일체의 강의와 교재를 효율적으로 수강하고 복습하는 것이 될 것 이다.

 

 

4. 분석 연습용

 

이상에서는 독해혁명교재를 AB강의 혹은 동사특강과 관련하여 복습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이제는 독해혁명 교재 자체만을 가지고 공부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해볼 차례이다. 독해혁명은, 서두에서 언급 했듯이, 문법 Part별로 문장을 나열하여, 해당 구조의 예시를 보여주는 독특한 형태로 되어있다. 따라서, 이것을 통해, 자신이 해당 문법구조에 대하여 정확히 알고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

 

즉, 이 교재는 자신이 중등교육과정의 영어공부를 어느 정도 수학하였으나, 자신이 알고 있고, 암기하고 있는 것이 어떤 것인지 체크하여, 부족한 부분을 메우는 공부를 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예를 들어 독해혁명 교재를 통해서 공부를 하다가, 어떠한 Part의 문장해석과 분석이 지속적으로 막힌다면, 그 학생은 해당 부분의 문법적 지식이 부족함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족한 문법지식을 보충하기위해 AB강의와 AB교재의 해당 Part의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효율적인 공부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자신이 이미 잘 알고 있는 문법적 내용에 대해서는 과감히 Skip하고, 자신이 모르는 내용을 위주로 먼저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이것은 매우 이상적인 공부방법이며 이것을 잘 활용한다면, 매우 고효율적인 공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어느 정도 문법 공부를 해왔던 학생들은, AB강의로 넘어가기 전에, 독해혁명을 통해 자신이 아는 것이 무엇이고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 먼저 체크해볼 것을 권한다.

 

 

 

5. 맺음말

 

이상, 독해혁명을 활용한 여러가지 공부법을 살펴보았다. 물론 내가 제시한 위의 공부법 이외에도 각자만의 좋은 공부법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제시한 방법은 그러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결론적으로 성공한 공부법임을 말해둔다. 남들과 같은 시간 안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공부를 하는가가 바로 큰 차이를 만들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것을 위해 자신만의 새로운 공부방법을 만들어 내는 것도 물론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자신만의 불확실한 공부법을 택하기보다는, 이미 알려진 확실하고 효율적인 공부법을 이용하는 것이야 말로 확실한 공부법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가 제시한 좋은 공부법을 다시한번 읊으면서 글을 마무리 하겠다.

 

* AB강의를 Part별로 수강-> 상응하는 독해혁명의 Part별로 AB내용 복습 및 독해혁명 강의 예습-> 앞의 과정 반복을 통해 AB강의 완강-> 독해혁명 강의 수강-> 동사특강 강의 수강->동사특강 교재로 복습 및 암기-> 독해혁명 교재로 동사특강 암기내용 확인 및 독해혁명 복습.

 

 

1. [AB 소목차 001~015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07 ~ p.82” 복습]

2. [AB 소목차 016~022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전반적인 내용” 복습]

3. [AB 소목차 024~025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364 ~ p.369, p.298 ~ p.303, p.394 ~ p.406 ” 복습]

4. [AB 소목차 026~040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전반적인 내용” 복습]

5. [AB 소목차 041~048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84 ~p.96” 복습]

6. [AB 소목차 049~050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98 ~ p.124” 복습]

7. [AB 소목차 051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140 ~ p.145" 복습]

8. [AB 소목차 052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125 ~ p.139” 복습]

9. [AB 소목차 053~064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162 ~ p.177, p.205 ~ p.209” 복습]

10. [AB 소목차 065~066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178 ~ p.189" 복습]

11. [AB 소목차 067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162 ~ p.177” 복습]

12. [AB 소목차 068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18 ~ p.221” 복습]

13. [AB 소목차 069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22 ~ p.225” 복습]

14. [AB 소목차 070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10 ~ p.212” 복습]

15. [AB 소목차 071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13 ~ p.217” 복습]

16. [AB 소목차 072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162 ~ p.225” 복습]

17. [AB 소목차 073~074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01 ~ p.204” 복습]

18. [AB 소목차 075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13 ~ p.217” 복습]

19. [AB 소목차 076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178 ~ p.189” 복습]

20. [AB 소목차 077~080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190 ~ p.200” 복습]

21. [AB 소목차 081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162 ~ p.225” 복습]

22. [AB 소목차 082~093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28 ~ p.256” 복습]

23. [AB 소목차 094~095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394 ~ p.406” 복습]

24. [AB 소목차 096~099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58 ~ p.264” 복습]

25. [AB 소목차 100~101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67 ~ p.269” 복습]

26. [AB 소목차 102~104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58 ~ p.264” 복습]

27. [AB 소목차 105~106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65 ~ p.266” 복습]

28. [AB 소목차 107~118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70 ~ p.273” 복습]

29. [AB 소목차 119~140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428 ~ p.443” 복습]

30. [AB 소목차 141~145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76 ~ p.279” 복습]

31. [AB 소목차 146~148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80 ~ p.289” 복습]

32. [AB 소목차 149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90” 복습]

33. [AB 소목차 150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91 ~ p.295” 복습]

34. [AB 소목차 151~168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298 ~ p.326” 복습]

35. [AB 소목차 169~177까지수강 후, 독해혁명 “p.327 ~ p.341” 복습]

36. [AB 소목차 178~187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344 ~ p.357” 복습]

37. [AB 소목차 188~216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360 ~ p.392” 복습]

38. [AB 소목차 217~225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394 ~ p.406” 복습]

39. [AB 소목차 226~234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407 ~ p.425” 복습]

40. [AB 소목차 235~246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428 ~ p.441” 복습]

41. [AB 소목차 247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441 ~ p.443” 복습]

42. [AB 소목차 248~275까지 수강 후, 독해혁명 “p.446 ~ p.456” 복습]

<?xml:namespace prefix = o />

 

 

 

AB 큰 목차

AB 소 목차

독해혁명 연습 목차

01강

명사와 대명사의 역할

001

명사와 대명사의 6가지 역할

1. 주어-01. 동명사구 주어1. 주어-02. 명사절 주어1. 주어-03. 명사주어1. 주어-04. 분사구의 수식을 받는 주어1. 주어-05. 관계사가 생략된 절의 수식을 받는 주어1. 주어-06. 동격을 수반하는 주어1. 주어-07. there be 주어1. 주어-08. 가주어 it1. 주어-09. 강조의 it~that 구문

2. 동사-01. 4형식 동사+I.O+D.O 의 해석법

2. 동사-02. 동사+O+O.C. 의 해석법

2. 동사-03. let, have, make, help, see,

hear, watch, feel, notice 등의 5형식적 해석법

2. 동사-04. 형용사나 명사를 주격보어로

받는 동사의 해석법

02강

짝개념

002

주어와 동사 짝

003

타동사와 그 목적어 짝

004

전치사와 그 목적어 짝

03강

영어와 한국어의가장중요한운용상의차이

005

한글은 토씨어, 영어는 위치어

006

한글은 정황어, 영어는 논리어

007

한글은 전치수식어 영어는 전치후치수식어

04강

주어이야기

008

영어에는 5가지 주어가 있다

05강

동사이야기

009

영어네는 크게 두가지 동사가 있다

010

주어와 동사 짝

011

타동사의 목적어는 5종류가 있다

06강

재귀대명사의 용법

012

재귀대명사의 형태

013

재귀대명사의 용법

014

전치사+재귀대명사

015

재귀대명사 숙어

07강

형용사

016

뜻을 혼동하기 쉬운 형용사

독해혁명 전반적인 내용

017

형용사의 두 가지 역할

018

주요 형용사형 어미

019

보어로만 사용하는 형용사

020

수식어로만 사용하는 형용사

021

수식할 때와 보어일 때 의미가 달라지는 형용사

022

뒤에 전치사나 부정사 또는 절을 유도하는 형용사

08강

후치수식(뒤에서 꾸미는 말)

024

명사를 뒤에서 꾸미는 다섯가지 대표구조

11. to 부정사-02. 명사+to 동사원형의 수식적 해석법9. 관계절-01. 명사+ who/ which/ that/ +V의 해석법

12. 분사-01. 동작의 진행을 의미하는 형용사인 현재분사12.분사-02. 수동이나 완료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인 과거분사

 

025

전치수식어

09강

일치

026

접속사 or,nor,as well as, not only-but also에 의한 연결

독해혁명 전반적인 내용

027

유도부사 there는 뒤의 주어에 동사 일치

028

all of 명사 형 주어의 수

029

주어 + 전치사 + 명사

030

관계사주격 다음의 동사는 선행사의 수에 일치한다

031

every + 단수명사

032

어미에 원래 ‘s'가 있는 단수취급 명사

033

주어 and 주어

034

쌍으로 된 물건

035

many +복수명사 +복수동사 = many a + 단수명사 + 단수동사

036

the +형용사(분사) = 복수보통명사

037

시간, 거리, 가격, 무게 등이 하나의 단위로 사용될 때는 단수취급한다

038

a number of, the number of +복수명사

039

neither of, both of, one of

040

집합명사의 단수, 복수 활용

10강

등위 접속사

041

등위 접속사의 일반적 성질

3. 병렬구조 - and, but, or, nor, either A or B, neither A nor B, both A and B, not only A but also B, nor A but B 에 의한 연결구조 끊어보기

042

and

043

but

044

but의 특별용법

045

or

046

nor : 양자부정 접속사 (-도 역시 아니다)

047

nor only A but also B

048

both A and B

11강

명사절과 접속사

049

명사절을 유도하는 접속사와 그 구조

4. 명사절-01. <that+S+V>가 명사의 자리에 올 때 해석법

050

that + 주어 + 동사

051

If 주어 + 동사, whether 주어 + 동사(or not)

4. 명사절-03. <if+S+V>/<whether+S+V>가 명사의 자리에 올 때 해석법

052

Wh- +(주어) + 동사

4. 명사절-02. <what+S+V>가 명사의 자리에 올 때 해석법4. 명사절-04. <wh-+S+V>가 명사의 자리에 올 때 해석법

12강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053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

5. 부사절-01. 시간의 부사절5. 부사절-05. 대조의 부사절

054

as + 주어 + 동사 : ~할 때, ~하면서

055

while + 주어+ 동+사:~하는동안 하 는반면

056

after + 주어+ 동+사:~한 후

057

before + 주어+ 동+사:~하기전에

058

it will not be long before

059

had not pp 수량+ before-

060

it is 시 간before -

061

since + 주어+ 동+사

062

until + 주어+ 동+사

063

not, until 연구

064

as soon as + 주어+ 동+사:~하자마자

065

as long as:~하는한(= so long as, so far as, as far as)

5. 부사절-02. 조건의 부사절

066

once + 주어+ 동+사:일단~하~면 했 을때

067

by the time + 주어+ 동+사:~할무렵

5. 부사절-01. 시간의 부사절

068

양태, 방식의 부사절

5. 부사절-08. 양태의 부사절

069

비례의 부사절: ~할수록, ~함에 따라 ~하다

5. 부사절-09. 비례의 부사절

070

목적의 부사절: ~하기 위해, ~할 수 있도록

5. 부사절-06. 목적의 부사절

071

결과의 부사절: 그래서, 그 결과 ~하다

5. 부사절-07. 정도의 부사절

072

장소의부사절 ~인 곳에서 ~인 어떤 곳에서라도

5. 부사절- 부사절 전반

073

원인 이 유의부사절

5. 부사절-04. 원인,이유의 부사절

074

not-because의 두 가지 해석법

075

정도의 부사절 : 매우 ~해서 ~할 정도이다

5. 부사절-07. 정도의 부사절

076

조건의 부사절 : 만약 ~한다면

5. 부사절-02. 조건의 부사절

077

양보의부사절 비 록~라 해도 ~에 도불구하고

5. 부사절-03. 양보의 부사절

078

양보절의 도치

079

[ wh-대명사+ ever ]에 의한 양보절

080

[ wh-부사+ ever ]에의한양보절

081

부사절접속사다음의S2 + be 생략

5. 부사절- 부사절 전반적인 내용

13강

수동태

082

수동태의 탄생

6. 수동태-01. S+be p.p.,get p.p.,become p.p.

6. 수동태-02. S+will+be p.p.

6. 수동태-03. to be p.p.

6. 수동태-04. S+조동사+be p.p.

6. 수동태-05. S+be being p.p.

6. 수동태-06. S+have been p.p.

6. 수동태-07. S+had been p.p.

6. 수동태-08. S+조동사+have been p.p.

083

3형식의 수동화

084

타동사구의 수동화

085

3형식 복문수동태

086

수동태의 뒤의 전치사

067

타동사+목적어+전치사+목적어 구조의 수동화

088

동사+A전치사+B 구조의 주요 숙어

089

4형식의 수동화

090

5형식의 수동화

091

be p.p와 get p.p의 해석상 차이점

092

준동사의 수동태

093

주의할 수동태의 해석법

094

need나 want, be worth, deserve 동사들 뒤에 오는 ing는 수동으로 이해

12.분사-01. 동작의 진행을 의미하는 형용사인 현재분사

12.분사-02. 수동이나 완료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인 과거분사

095

수동태의 be p.p나 get p.p구조에서 p.p만을 떼어내서 명사의 뒤에 붙이면 후치수식어가 된다.

14강

가정법

096

모르고 하는 가정

7. 가정법-01. 일어나지 않은 사실 혹은 반대 사실 가정

097

현재사실 반대가정+현재사실 반대결과

098

과거사실 반대가정+과거사실 반대결과

099

과거사실 반대가정+현재사실 반대결과

100

I wish+S2+V2 (과거시제) : 현재사실의 반대를 바람

7. 가정법-03. I wish/ I would rather/ as if(as though) 가정법

101

I wish+S2+had p.p(과거완료시제) : 과거사실의 반대를 바람

102

as if+S2+V2(과거시제) : 마치 ~하듯이, 실제로는 아니었는데

7. 가정법-01. 일어나지 않은 사실 혹은 반대 사실 가정

103

as if+S2+had p.p (과거완료) : 마치 ~했듯이, 실제로는 아니었는데

104

what if 가정법 : ~하면 어쩌나, ~ 했으면 어쩔 뻔했나

105

If it were not for A: 만일 A가 없다면 ~실제로 A는 있음

7. 가정법-02. If접속사가 생략되고 도치된 가정법

106

If it had not been for A:만일 A가 없었다면 ~실제로는 있었음

107

a,an,any,another+S+would+V: 만일 ~한 주어라면 ~할 텐데

7. 가정법-04. 기타 가정법

108

a,an,any,another+S+would+have p.p: 만일 ~했던 주어라면 ~했을 텐데

109

전치사+짝, S+would+V

110

전치사+짝, S+would have p.p

111

to V.R, +S+would+V

112

to V.R, S+would have p.p

113

직설법+otherwise+S+would+V: ~이다, 그렇지 않다면 ~일 것이다

114

직설법+otherwise+S+would+have p.p: ~였다, 그렇지 않다면 ~일 것이다

115

분사구문+S+would+V

116

분사구문+S+would have p.p

117

문맥+S+would+V

118

문맥+S+would have p.p

15강

조동사

119

can

13. 시제-06. 조동사+have p.p

120

may

121

must

122

will

123

shall

124

would

125

should

126

need

127

dare

128

may well: ~하는 것이 당연하다, ~할지도 모른다

129

may as well: ~하는 것이 더 낫다

130

had better: ~하는 것이 더 낫다

131

would rather: ~하는 편이 더 낫다

132

may as well A as B: B하느니 A하는 편이 낫다

133

would rather A than B: ㅠ 하느니 A 하는 편이 낫다

134

부정사에 의한 조동사 대용

135

may have p.p: ~했을 지도 모른다

136

must have p.p: ~했음에 틀림 없다

137

cannot have p.p: ~했을 리가 없다

138

should have p.p:~했어야만 했다 그런데 안해서 유감이다

139

ought to have p.p: ~했어야만 했다 그런데 안해서 유감이다

140

need not have p.p: ~할 필요가 없었는데 했다

16강

비교구문

141

원급비교의 생성원리

8. 비교구문-01. as...as에 의한 비교

142

부정원급비교의 구성

143

원급비교를 이용한 관용표현

144

원급비교에서 두 번째 as이하의 생략

145

배수사와 원급비교

146

비교급비교의 생성원리

8. 비교구문-02. more...than, less...thna, ...er than 에 의한 비교

147

비교급모양 만들기

148

-or과 -ior 어미의 비교급 형용사

149

비교급비교를 이용한 관용표현

8. 바교구문-03. the 비교급+S+V, the 비교급+S+V

150

최상급비교

8. 비교구문-04. 최상급

8. 비교구문-05. 최상의 의미를 갖는 more, less, ...er

17강

관계사

151

관계대명사의 개념

9. 관계절-01. 명사+who/ which/ that+V의 해석법

9. 관계절-02. 선행사+whom/ which/ that + S + V 의 해석법

9. 관계절-03. whose명사/ the 명사 of

which / of which the 명사 +(S) +V : 소유격관계대명사의 해석법

9. 관계절-04. 선행사와 떨어져 있는 관계사절의 해석법

9. 관계절-05. 관계사가 생략된 관계사절의 해석법

9. 관계절-06. 콤마에 이어지는 관계사절의 해석법: 추가적 해석

9. 관계절-07. as/than: 유사관계대명사의 해석법

152

관계대명사의 생성과정

153

소유격관계사의 활용

154

계속적 용법과 제한적 용법

155

선행사와 관계대명사의 분리

156

반드시 comma를 사용하는 계속적 용법

157

주격관계대명사의 생략

158

목적격 관계사의 생략

159

보어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160

(관계사 주격+be)의 생략

161

유사관계 대명사

162

관계대명사를 which로 써야 하는 경우

163

관계대명사에 that을 써야 하는 경우

164

관계사절 속에서 전치사의 위치

165

관계형용사

166

관계대명사 what

167

what을 사용하는 주요 관용구

168

whatever가 사용될 경우: 양보(어떠한 것이라도)

169

관계부사의 생성과정

9. 관계절-08. 전치사+whom/which+S+V의

해석법9. 관계절-09.

선행사+when/where/why/how +S+V의 해석법

170

where와 when은 comma와 함께 계속적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171

관계부사의 생략

172

in,at,on 외의 전치사와 관계대명사

173

선행사를 생략하고 관계부사를 사용할 경우

174

복합관계대명사가 명사절로 사용될 때

175

복합관계대명사가 양보의 부사절을 유도할 때

176

복합관계부사가 양보의 부사절을 유도할 때

177

복합관계형용사가 명사절과 양보의 부사절을 유도할 때

18강

동명사

178

동명사의 형태와 개념

10. 동명사-01. V-ing의 주어자리

10. 동명사-02. 타동사의 목적어자리

10. 동명사-03. 자주 사용되는 전치사 + V -ing 의 해석법

 

179

동명사의 역할

180

수동동명사

181

자주 사용되는 전치사와 동명사

182

타동사 뒤에서 수동해석 되는 동명사

183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

184

동명사의 시제

185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3형식 동사

186

주요 동명사의 관용숙어

187

동사 뒤에서 동명사와 부정사의 의미차이

19강

to부정사

188

부정사의 형태와 개념

 

11.부정사-01. be+to 동사원형의 해석법

11.부정사-02. 명사+to동사원형의 수식적 해석법

11.부정사-03. 동사+ to동사원형의 해석법

11.부정사-04. 동사+명사목적어+ to동사원형의 해석법

11.부정사-05. 자주 사용되는 형용사+to동사원형의 해석법

11.부정사-06. to+동사원형의 목적, 이유, 결과적 해석법

11.부정사-07. too+형용사, 부사+to 동사원형의 해석법

 

189

주어로 사용될 때

190

가주어 진주어 구조로 사용될 때(주어가 길기 때문에)

191

주격보어로 사용될 때 : V+to V.R

192

타동사의 목적보어로

193

사역동사 예문

194

지각동사 예문

195

수동태에서는 to부정사로

196

타동사의 목적어로 사용될 때: Vt+ to V.R

197

의문사+to부정사

198

to V.R, S+V

199

S+V... to V.R

200

S+V... to V.R

201

감정동사+to V.R

202

감정타동사

203

명사+to동사원형(뒤에서 꾸미기=후치수식)

204

Vt+it+OC+to V.R

205

이유나 판단의 근거로 사용되는 부정사

206

숙어적 부정사

207

부정사의 부정

208

분리부정사

209

독립부정사

210

부정사가 가정법의 의미를 가질 때

211

가주, 진주에서의 문장전환

212

대부정사

213

실현되지 않은 소망의 표현

214

be to의 다양한 해석법

215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216

부정사의 시제

20강

분사 = 동사에서 온 형용사

217

분사의 형태

12.분사-01. 동작의 진행을 의미하는 형용사인 현재분사

12.분사-02. 수동이나 완료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인 과거분사

 

 

218

분사의 해석법

219

분사가 명사 뒤에서 꾸미기 (후치수식)

220

유사분사 = 명사의 뒤에 ed를 붙여 만든 형용사로 [~을 가진] 이라고 해석된다

221

복합분사 = 앞의 다른 단어와 함게 만들어진 분사구

222

the +분사

223

분사의 보어용법

224

분사가 형용사를 수식할 때 : “매우”의 뜻으로 해석할 것

225

동사의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의 구별

21강

접속사와 주어를 없애는 분사구문

226

분사구문의 생성과정

12.분사-03. 분사구문

12.분사-04. 완료분사구문

12.분사-05. with+명사+ing, pp의 해석법

227

단순분사구문과 완료분사구문의 도식화

228

수동분사구문에서 being이나 having been의 생략

229

분사구문의 해석범위

230

분사구문의 위치

231

being +보어 분사구문

232

유도부사 there 가 있는 분사구문

233

주어가 달라도 S2를 생략하는 경우 (특정주어가 아닌 일반인주어 일 때)

234

동사의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의 구별

22강

시제

235

시점과 시제

13. 시제-01. 현재 완료 : have p.p

13. 시제-02. 현재 완료 진행: have been ~ing

13. 시제-03. 과거 완료: had p.p

13. 시제-04. 과거 완료 진행: had been ~ing

236

현재시제: 3인칭 단수주어에서는 동사의 끝에 S를 붙인다

237

과거시제: 현재와는 무관한 과거의 사안에 대해 말한다

238

과거 습관 표시법

239

미래시제: 앞으로 일어날 일에 관하여 말한다

240

현재진행시제

241

과거진행시제

242

미래진행시제

243

현재완료시제

244

[-한지 얼마나 되었다]의 표현법

245

과거완료시제

246

과거시점을 설정하는 기본구조

247

미래완료시제: will have p.p

13. 시제-05. 미래 완료: will have p.p

23강

도치 및 특수구문

248

부정어에 의한 도치

14. 특수구문-01. 부분부정

14. 특수구문-02. not 외의 부정구문

14. 특수구문-03. 도치구문의 빠른 이해

14. 특수구문-04. do 동사에 의한 강조구문

249

제한어 only에 의한 도치

250

가정법에서 접속사 if를 생략하고 의문문 어순

251

so에 의한 도치

252

비교구문에서의 도치

253

주격보어 형용사나 명사가 문두로 나간 양보절

254

부사가 문두로 나간 양보절

255

유도부사 there가 문두에 있는 1형식절

256

동사와 부사가 동사구를 이룰 때 부사의 문두도치

257

양보절에서 동사원형의 문두 도치

258

1형식에서 장소의 전치사 짝이나 부사가 문두로 도치

259

2형식 주격보어의 문두 조치

260

3형식 목적어의 문두 조치

261

4형식에서 전치사+간접목적어를 동사다음에 둘 때

262

5형식 목적보어가 형용사일 때 목적어의 앞에 도치

263

일반동사의 강조

264

명사의 강조

265

형용사나 부사의 강조

266

의문문의 강조

267

부정문의 강조

268

it be+강조어구+that+나머지 어구

269

부사절 접속사 다음의 S2+be의 생략

270

등위절에서 두 번 째 절의 동사가 같을 때의 생략

271

the 비교급, the 비교급에서 주어가 명사일 때 be 동사가 생략되거나 내용전체를 생략

272

whatever가 유도하는 양보절에서 주어가 명사일 때 be 동사의 생략

273

게시용어의 생략

274

대부정사나 대동사에 의한 생략

275

그 외의 관용적 생략

Comment '2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 from. 샤라   on 2010.04.03 12:46
    정말 영어를 영어답게 가장빠르게 공부할수있는 학습법!!ㅋㅋ
    현재 AB강의듣고 독해혁명으로 문법바로바로적용하면서 문장분석하는데
    독해혁명해설지랑 내가한 해석이랑 맞아떨어지는게 너무재밋다 ㅋ ㅋ
  • from. minces   on 2010.04.03 14:55
    이거 한글파일같은걸로 만들어 주시면않되요??
  • from. 민죽아   on 2010.04.03 14:57
    한글파일로 만들어주셨으면 해요!! 표 인쇄해서 독해혁명책에 붙이고 싶어요~
  • from. 꼬마전구   on 2010.04.03 19:09
    프린트하게 한글파일로..부탁드려요~
  • from. 준수   on 2010.04.03 21:20
    맺음말 부분만 한글파일로 부탁드려요~
  • from. 유콩쥐홀   on 2010.04.04 22:23
    한글 파일로 올려주셨으면 좋겠어요
  • from. 딸둘맘   on 2010.04.23 16:38
    위 방법으로 공부를 한다면 듣기와 어휘는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
  • from. 야호   on 2010.05.20 12:16
    전반적이란게 어디부분인지 모르겠어요.. 전체 다를 말하는건가요 수동태 앞까지를 말하는건가요..
  • from. 너존나미워   on 2010.07.05 17:45
    전반적인 내용이란 딱 정해진 부분없이 전반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이라는 뜻 같습니다 ㅎㅎ
  • from. smash_hit   on 2010.08.16 20:00
    독해혁명도 해설지있나요??
  • from. 곽진우   on 2011.01.07 22:56
    감솨 합니다^^
  • from. 쇼로롱숑숑   on 2011.01.21 00:25
    우와! 감사합니다~ 방금 인강듣고있는데 김정호쌤이 카페들어가서 확인해 보라고해서 왔어요 ㅋㅋ
  • from. 타미사랑   on 2011.02.02 23:00
    감사합니다
  • from. 미바비   on 2011.02.14 20:19
    그럼AB랑독해혁명을같이듣는게좋은거에요?
  • from. 조지   on 2011.02.17 19:14
    인강듣다가 쌤이 확인하라고 해서 왔어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from. 아놔3등급   on 2011.03.30 23:52
    저두 ㅋㅋ
  • from. 해와달은종이한장차이   on 2011.06.06 12:59
    ㅅㅅ
  • from. asdg   on 2011.06.08 17:26
    저 독해혁명 교제를샀는데요 400p넘어가는거 칼분석아닌가요??
  • from. 꽃남우빈   on 2011.07.24 00:57
    이거 인쇄좀하게 pdf파일로좀 ㅠ
  • from. 애인   on 2011.08.10 00:47
    이거 인쇄하게 한글파일로좀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 AB서브노트 강의책 질문이요, [8] [303] 투신 2011.05.16 31043
6 That절의 주어 타동사 목적어 [1] [341] verfassung1 2011.04.03 27162
5 &lt;외국어영역&gt; 확실한 유형별 풀이 전략 소개 + 듣기 비법 정리 file [6] [449] 쩌쩌영쌤 2010.11.16 38913
4 AB+독해혁명 학습법 pdf 파일입니다. [21] [133] 조실장 2010.04.05 37343
3 김정호 연구실에서 제안하는 AB와 독해혁명 공부 방법중 챕터별 공부방법 file [13] [347] 류카 2010.04.04 29373
2 듣기표현정리 file [12] [133] 오정이 2010.04.04 42458
» AB와 독해혁명 병행학습법입니다. [20] [55] 이실장 2010.04.03 21682
Tag
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