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게시판

💌 타미샘 1:1 영어 질문 📣

6999. 비상구
6998. BtoB 강의에서
6997. 질문 드립니다.
6996. 안녕하세요 품사공용어 부분에서 질문드려요.
6995. 비슷한 것 추가질문
6994. 질문드립니다.
6993. 심화동사 2편 출판 문의
6992. 마지막기초영문법 이후 심화과정?
6991. 117번 지문 질문
6990. 116번 지문
6989. 조동사 can
6988. 마지막 기초 영문법
6987. 질문드립니다
6986. 질문드립니다
6985. 마지막기초영문법 시제첫번째
6984. 독해의 신2 30번
6983. 문의
6982. 마지막 기초영문법 p328 질문사항
6981. 영어질문 검색기능이 없어졌네요...
6980. 조동사
6979. 명사 이중소유격 질문
6978. 명사 이중소유격
6977. 문법의신 동명사 기출문제 6번
6976. 분사 질문입니다.
6975. 수동태 감정동사
6974. 문의
6973. 문의
6972. 분사구문 Being 생략 불가능한 경우
6971. 가정법 종류 질문입니다
6970. 수사+단위명사
6969. 영문법사전 교재 파트1 동사편 기출문제 (52p 4번문제)
6968. 선생님 안녕하세요.
6967. 명사의 소유격
6966. many tons of water의 막연함
6965. Some 단수
6964. Any of either of neither of none of 심지어 each of
6963. 한정사의 중복
6962. some any
6961. some 고찰
6960. obejct
6959. than 고찰
6958. 마지막기초영문법 분사1에서 46:29
6957. 마지막 기초영문법 분사1에서 14:00
6956. 마지막기초영문법 분사1에서
6955. 선생님
6954. 공부법 질문이요
6953. 부가의문문
6952. 선생님
6951. 선생님
6950. 영문법 사전 시제일치 질문
6949. [영문법사전] have p.p가 과거의 사실이 현재까지 이어짐을 나타내는 용법이잖아요?
6948. 안녕하세요 선생님 내신서술형 문제 질문 드려도 될까요?
6947. 질문드립니다
6946. 주절과 종속절 시제일치
6945. run-spot-run
6944. 구조 질문입니다
6943. 구조 질문입니다
6942. 명사절 내 명사 ( 재잘문 )
6941. 구조 질문입니다
6939. 접속사/의문사 와 형용사
6938. 구조 질문입니다
6937. 전강좌 프리패스 패키지 _ 마지막 기초 영문법_ 동사편_1
6936. 데미안 질문 2
6935. 데미안 질문입니다
6934. nor 추가질문
6932. 부사구 질문
6931. 이중전치사 구조
6930. 기출 400제, 341번 질문
6929. 가주 진주 단문화
6928. 비상구
6927. TEG 167page 5번
6926. 구조 질문입니다
6925. 전치사 재질문
6924. nor 병렬 질문
6923. to 부정사의 용도 용법
6922. 영문법사전 1268번 예문(p.311)
6921. 영문법사전 PART01 수여동사 play관련 질문
6920. 독해지문 문의
6919. 영문법사전 p350
6918. Here 형용사
6917. 영문법사전 질문있어요
6916. unitl질문
6915. to부정사 명사가 용도나 내용 관계
6914. 마지막기초영문법 수동태
6913. 문법의 신
6912. 마지막기초영문법강의 중 darts
6911. 의문문 질문
6910. 독해혁명 156페이지 3번 지문 질문이요
6909. 영문법사전 기출문제 27번
6908. 최영단2 54번예문
6907. 전치사구 질문드립니다
6906. 2025 6모 21번 현재완료 문장 질문이요
6905. where/when 명사적 용법
6904. TEG
6903. 등위접속사와 비교구문의 병렬관계
6902. there 유도부사
6898. 비교급 비교 관용표현
6897. 고2 모의고사 질문드립니다.
6896. 문법의 신
6895. 업무량 때문에 답변이 조금 늦어지고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일주일 내에 밀린 답변 처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품사공용어 부분에서 질문드려요.

2025-03-12 14:48:26 | 작성자: 김민석

마지막기초영문법 강의 6강 마지막부분쯤에 품사공용어설명하는 부분들에서

이제 다의어들을 품사공용어라고 정의하고 이해하면될까요?ㄷ

다의어들은 위치랑 연계성으로 품사나 뜻을 결정한다고 이해하면되는걸까요?

태생부터 형용사나 명사의 품사로만 가지고 태어난 단어들이 위치,연계성으로 동사자리에 있으면 형용사나 명사의 품사만 갖고있던 단어가 동사가되는건가요??

강의 예문에서 spoonful handful를 네이버사전에 검색해보니 명사로만 나와있고 형용사는 없어서요.

Better도 네이버사전에ㅠ검색해보니 동사는 없어서요.태생부터 동사가아닌친구들도 문맥,위치에따라서 “넌 인쟈 동사여~”라는게되는건지 모호해져서 헷갈립미다ㅜㅠ


P.s-수능을준비해보려고하는데 노베이스입니다. 이강의가 과연 수능준비해보려눈사람한테 괜찮은지 막연해서 추가질문해봐요!

뭐 인칭대명사 수일치같은거는 따로공부를 해야하나요??

댓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